포트폴리오
[개발자를 위한 교양서] #13 포트폴리오 네이버에 입사할 때가 떠오릅니다. 당시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지원했는데, 이전 회사에서는 다른 분야의 개발을 했습니다. 경력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다 보니, ‘내가 이 일을 잘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줄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이력서에 취미로 만들었던 사이트를 포트폴리오로 제출했습니다. ‘픽셀드로우’라는 이름의 서비스였는데, 100x100 크기의 그리드에 마우스를 드래그해서 그림을 그리면, 20x20 픽셀의 아이콘으로 변환해주는 작은 웹서비스였습니다. 아주 오래 전이지만, 지금 생각해봐도 꽤 귀여운 아이디어였어요. 면접 때는 이 서비스를 만들면 겪었던 시행착오와, 구현 과정에서 부딪혔던 문제들에 대해 신나게 이야기했던 기억이 납니다. 아마 제 눈이 반짝였을 거예요. 개발자는 다른 직업에 비해 학력이나 자격 조건이 비교적 느슨한 편입니다. 전공자가 아니어도, 좋은 학교를 나오지 않았어도, 이전에 다른 일을 했더라도, 실력만 있다면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분야입니다. 그리고 그 실력을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수단 중 하나가 바로 포트폴리오입니다. 종종 취업이나 이직을 준비하는 후배들이 ‘무엇을 준비하면 좋을까’ 물어보면, 저는 항상 포트폴리오를 만들어보라고 이야기합니다. 평소에 만들어보고 싶었던 서비스가 있다면 그걸 구현해보는 것이 가장 좋고, 그런 게 없다면 작은 도구부터 시작해보라고요. 예를 들어, 변환기나 파서, 계산기 같은 도구도 좋고, 공부하면서 이해가 잘 안 됐던 개념을 쉽게 풀어주는 시각적 가이드도 좋습니다. 내가 자주 쓰고 싶은 것, 또는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만한 것이라면 더욱 좋고요. 다만, 가능한 수준에서 최대한 완성도를 높이길 추천합니다. 공개되어 있어야 하고, 실제로 제대로 동작해야 해요. 도메인을 등록해서 배포해보면 더 뿌듯할 겁니다. 요즘은 무료 호스팅도 많으서 비용 부담도 크지 않습니다. 이렇게 만든 포트폴리오의 가장 큰 장점은,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기획하고 만든 결과물이라는 점입니다. 누군가 시켜서가 아니라, 내가 만들고 싶어서 만든 거잖아요. 그 과정에서 개발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고, 완성했을 때의 성취감도 큽니다. 게다가 누군가 써보고 피드백을 주기라도 하면 아주 뿌듯하죠.
- 개발
Mar 30, 2025


2